우선 코로나19와 경제활동, 기후변화 간의 상관관계를 조망하는 연구가 늘어나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기후변화로 인한 생태계 교란이 국제화와 도시화로 특징지어지는 초연결사회에서 증폭돼 감염병이 확산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됐다는 분석이다.


코로나19를 통해 사람들은 물 부족, 기후변화 등 비전통 안보 위협이 세계 경제와 안보에 미치게 될 영향을 경험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적 연대의 필요성 역시 절감했다. 그러나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자국우선주의가 대두되며 다자주의가 흔들리고 있다.

당장 눈 앞에 닥친 과제만 대응한다면 이번 사태로 인한 향후 변화와 기회에 대비하지 못하게 된다. 지금은 과거로의 복귀가 아닌 미래를 대비하는 전략을 필요로 한다. 국제사회는 미래의 핵심이 디지털화(digitalization)와 탈탄소화(decarbonization)라고 보고 있다. 4차 산업혁명 기술의 요체가 디지털화이고 기후변화 대응의 요체가 탈탄소화이기 때문인데 이는 포스트 코로나19 시대의 핵심 대응책이기도 하다. 코로나19 위기로 인해 미래사회가 앞당겨졌다고 말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따라서 한국판 뉴딜은 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 두 축으로 구성돼 혁신성장과 포용성장을 추진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와 미래에 대한 혁신적인 대비와, 인간과 지구의 생태계 회복을 포용해야 지속가능한 성장이 이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전 세계가 코로나19의 모범적 대응국가로 우리나라를 주시하는 동시에 기후변화 대응 기여 수준도 주목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작년 녹색기후기금(GCF) 재원 보충 과정에서 우리나라의 선한 영향력을 직접 목격했기 때문이다. 유엔 기후행동정상회의(9월)시 각 국의 GCF 기여 약정이 74억달러였는데 GCF 고위급 공여 회의(10월)에서 97억달러가 조성됐다. 유엔 회의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2배 인상 공약을 한 것이 선진국들을 설득하는 데 매우 주요했다는 평가다.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근본 원인으로 꼽히는 기후변화 대응이 필수적이다. 근본 원인을 제거하지 않는 한 변종 바이러스는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감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을 방지하면서, 저탄소사회로의 전환과 4차 산업혁명 기술의 발전을 통해 작금의 위기를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기회로 바꾸어 나가야 한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가 코로나19 방역 모범국가에 이어 기후변화 대응 모범국가로도 도약하기를 기대해 본다. 이는 내년도로 연기된 P4G 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초석이 될 것이다.

유연철 외교부 기후변화대사

유연철 외교부 기후변화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