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명 중 1명이 노인” 부산·울산이 늙어간다 입력 : 2023.01.01 10:43 수정 : 2023.01.01 13:30류…

작성자 : 최고관리자    작성일시 : 작성일2023-01-03 21:14:52    조회 : 85회    댓글: 0
서울 동대문종합시장 인근에서 택배 일감을 기다리는 노인들. 권도현 기자

서울 동대문종합시장 인근에서 택배 일감을 기다리는 노인들. 권도현 기자

2025년이면 우리나라가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부산·울산의 고령화가 특히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역시라는 이름이 무색하게 전체인구는 매년 감소하고, 노인 비중만 늘고 있는 것이다. 전라도 대부분 지역과 강원도 일부지역은 노인이 사망하면 지역자체가 소멸할 위기인 것으로 조사됐다.

1일 국토연구원 이영민 부연구위원은 ‘시군구별 노인인구 및 총인구 변화와 시사점’ 국토이슈리포트를 통해 이같은 내용의 ‘2000~2021년 노인인구 및 총인구 변화패턴’ 분석결과를 내놓았다.

노인인구 증가속도와 총인구 증가속도의 차이가 가장 큰 지역은 울산 동구였다. 2021년 기준 울산 동구의 노인인구는 2만1417명으로 전체 인구의 13.9%를 차지했다. 2000년에는 노인인구 비율이 2.74%에 불과한 ‘젊은 도시’였던 울산동구가 20년 새 ‘늙은 도시’가 됐다.

울산동구의 총인구대비 노인인구 증가배율은 5.08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배율은 총인구 대비 노인인구 증가속도를 알 수 있는 수치다.

국토연구원

국토연구원

총인구 대비 노인인구 증가배율이 큰 상위 10개 시군구는 울산 동구, 부산 사상구, 대구 서구, 울산 중구, 부산 영도구, 울산 남구, 부산 북구, 부산 사하구, 서울 금천구, 서울 구로구 순이다. 10개 지역 중 7개 지역이 부산·울산에 몰려있다. 해당 지역들은 전체 총인구는 감소하는 가운데 노인인구가 급격히 늘어난 지역이다.

logo.png

mute.png

playBtn.png
12 초 후 SKIP

노인인구 비율이 특히 지난 21년새 크게 늘어난 곳은 부산의 대표적인 조선업 밀집 지역인 부산 영도구였다. 영도구의 현재 노인인구는 3만1981명으로 전체 인구의 28.91%를 차지했다. 영도구는 지난 21년 사이 전체 인구의 40.03%가 감소했다. 조선업의 쇠퇴와 함께 젊은 사람은 떠나고 노인만 남은 도시가 되고 있는 것이다.

영도구 다음으로 노인인구 비율이 많은 지역은 대구 서구로, 2000년 당시 5.36%였던 노인비율은 2021년 24.06%까지 늘었다. 이들 지역은 4명 당 1명 꼴로 노인이 살고 있는 셈이다.

노인이 사망하면 지역 자체가 소멸될 가능성이 높은 지역은 전라도 전역, 강원 고성·정선·영월군, 서울 종로구, 경북 영주시 등 60곳(26.2%)에 달했다.

특히 ‘노인인구 증가속도 하위 10개 지역’에 오른 전남 보성군·장흥군·곡성군·고흥군·함평군·강진군, 전북 순창군·임실군, 경남 남해군·의령군은 전체 인구 3~4명 중 1명꼴로 노인이었다. 해당 지역은 행정안전부가 지정한 인구감소지역과도 일치한다.이들 지역은 2000년 시점에 이미 노인비율이 높아 지난 21년간 노인증가속도는 느렸지만 총인구수가 빠르게 감소하면서 노인인구비율 증가폭이 컸다.

특히 전남 고흥군은 지난 21년간 총인구가 37.85%감소하면서 2021년 노인이 전체 인구의 42.23%(2만6507명)를 차지했다.

국토연구원

국토연구원

이영민 부연구위원은 “대도시권들은 현재 타 시군구에 비해 노인인구 비율이 낮더라도 총인구증가속도에 비해 노인인구 증가속도가 약 3배 이상 빨라 고령화로 인한 문제 발생 가능성이 크다”면서 “대도시권 지역에서는 정주여건 개선 및 확충, 노인일자리 창출, 생애주기별 맞춤지원 등 초고령사회에 대비한 정책적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한편 이번 분석은 각 지역별 노인인구 증가속도와 총인구증가 속도를 느림·보통·빠름 등 3개 유형 총 9단계로 분류해 각 증가속도별로 전체 노인인구비율을 산출했다는 점에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이 있다.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전국 229개(기초지방자치단체 226개·세종시 1개·제주시 2개 포함) 지역의 2000~2021년 주민등록인구 데이터를 활용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