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만 짓는 농촌?...도시인들의 힐링 공간

작성자 : 최고관리자    작성일시 : 작성일2017-11-02 16:16:55    조회 : 360회    댓글: 0

 


특집

창간 71주년 기획
 
[창간 기획-구해줘, 농촌](4)“농사만 짓는 농촌?…도시인들의 힐링 공간입니다”

이삭 기자 isak84@kyunghyang.com

입력 : 2017.10.25 21:44:00
 

ㆍ인구 늘릴 대안은 - 전익수 충북대 교수 인터뷰

 

[창간 기획-구해줘, 농촌](4)“농사만 짓는 농촌?…도시인들의 힐링 공간입니다”
.
“농촌 소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농촌을 보는 시각부터 바꿔야 합니다.”


전익수 충북대학교 농업경제학과 교수(45·사진)는 25일 경향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농촌 인구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농촌이 우리에게 주는 가치에 대해 다시 생각해야 한다”며 “농촌은 단순히 농산물을 생산하는 곳이 아니라 시민들에게 정서적 안정을 주는 등 많은 기능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한국의 농촌이 고령화와 인구 감소 등으로 소멸 위기에 놓여 있다고 경고한다. 전 교수는 “2007년까지만 해도 농촌을 떠나 도시로 향하는 이촌향도 현상이 뚜렷했지만 2009년 이후부터는 도시를 떠나 농촌으로 향하는 이도향촌으로 역전되기 시작했다”며 “이는 농촌이 텅 비어 빠져나갈 사람이 없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라고 말했다. 이어 “농촌지역은 고령화를 넘어 초고령화 사회로 접어들었다”며 “농촌을 지키고 있는 노인들이 생을 다하면 농촌은 하나 둘 자취를 감출 것”이라고 덧붙였다.

 

[창간 기획-구해줘, 농촌](4)“농사만 짓는 농촌?…도시인들의 힐링 공간입니다”


.
소멸 위기에 놓인 농촌을 되살리기 위해서는 농촌을 보는 시각부터 바꿔야 한다고 전 교수는 강조했다. 농산물을 생산하는 농촌이 아니라 우리들에게 수많은 혜택을 가져다주는 공간으로 바라봐야 한다는 것이다. 전 교수는 “자유무역협정을 맺을 때마다 농업과 농촌이 손해를 보고 있다. 때문에 몇몇 사람들은 농업과 농촌이 국가 발전의 발목을 잡는다는 비판을 한다”며 “하지만 농업과 농촌은 시장경제가 줄 수 없는 다른 기능들이 있다”고 말했다. “예를 들면 사람들이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모습을 보고 행복감을 느끼거나 시골 풍경을 보며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등 농촌은 다원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며 “만약 농촌이 없어진다면 이 같은 기능이 상실되면서 우리의 삶은 더욱 피폐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비농업인, 도시민들은 이 같은 혜택을 누리면서도 아무런 대가를 지불하지 않고 있다”며 “개별적으로 돈을 지불하기 어려운 만큼, 정부가 세금으로 지불해야 한다는 개념을 갖고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전 교수는 “세계 곳곳에서 농촌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며 우리나라에도 이런 변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농촌 문제를 시장경제 관점이 아닌 사회적 문제로 생각하고 아낌없는 지원을 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국민적 동의 또는 국가적 합의를 이끌어내 전폭적인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농촌 인구 증가를 위한 가장 기본적인 대안은 20~39세의 청년세대들을 농촌으로 유입시키는 것이다. 청년들이 농촌에 자리를 잡아 가정을 이루고 2세를 출산하게 된다면 인구 문제는 자연스럽게 해결된다는 것이 전 교수의 의견이다.


이를 위해선 젊은이들에게 농촌을 경험시켜주는 계기를 마련하고, 이들이 거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전 교수는 조언했다. 그는 “과거에는 농활이나 봉사활동 등으로 청년들이 농촌 생활을 가까이 들여다볼 수 있는 기회가 많았지만 지금은 거의 사라지다시피 했다”며 “농번기 등 인력이 필요할 때 도시의 청년들이 와서 농민들을 돕는 농촌인턴제도와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청년 농업인 직불제, 청년희망뿌리단 등 청년 유입 정책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이 같은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청년들이 농촌에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하려면 농촌지역 삶의 수준을 높여야 한다”며 “이들의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안도 고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전 교수는 또 고향기부제가 위기에 놓인 농촌 환경을 개선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고향기부제는 일본의 후루사토(고향) 납세를 벤치마킹한 것으로 고향의 지자체에 기부금을 내면 일정 금액을 연말정산의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를 통해 되돌려주는 제도다.


그는 “이 제도가 돈이 아니라 고향을 떠나 도시로 간 사람들에게 고향을 알리고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수단으로 사용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또 이들 정책이 제대로 실현되는지에 대한 모니터링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 교수는 “청년 유입 정책을 우리나라보다 앞서 시행한 일본에서는 일부 농업인들이 청년들에게 기술 전수를 해 주지 않고 청년들을 일꾼처럼 대했다는 부작용 사례도 있었다”고 당부했다.

 


전 교수는 농촌농업·지역균형 관련 전문가다. 충북지역 인구 감소를 해결하기 위해 충북도가 구성한 ‘농촌인구감소대책 TF’에서 활동 중이다.

 
ⓒ 경향신문 & 경향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원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710252144005&code=620100#csidx54f318990c2ade5b057088c8b3762ff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